수도권 지하철, 전철에는 '절연구간'이라는 것이 있다.
절연구간은 전기공급 방식이 직류-교류 혹은 교류-교류로 바뀌는 곳이다.
열차 내에서 "잠시 후 전력공급 방식 변경으로 모든 냉·난방장치가 꺼지고 소등되오니 어쩌구..." 하는 방송이 나오면 절연구간을 통과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절연구간은 1호선 남영역-서울역, 청량리역-회기역,
4호선 남태령역-선바위역(직류-교류 절연구간),
중앙선 용산역-이촌역(교류-교류 절연구간. 한강대교 상판에 전기가 흐르는 것을 우려해 단전시켜 두었음).
등이다.
이외에도 절연구간은 매우 많다.
대부분 코레일이 운영하는 전철 지상구간에 집중되어 있다.
대부분 코레일이 운영하는 전철 지상구간에 집중되어 있다.
요즘 수도권 지하철 거의 모든 열차에는 통신사 와이파이 AP가 설치되어 있다.
(T wifi zone, KT Wifi, U+ Zone 등등)
절연구간을 지날 때에는 저 와이파이 AP도 단전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다만 끊기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일부 무선공유기는 단전에 대비해서 별도의 비상 배터리를 장착해 둔 것으로 보인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