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청량리-강릉을 운행하는 KTX가 2017년 12월 22일 개통되었다.
강릉선에는 그동안 "원강산천"이라고 불리우던 KTX-산천 B-type이 투입되었지만, 2021년 8월 1일부터 KTX-이음으로 대체되었다.
이 원강산천 차량은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경전선, 동해선 등지에 투입되고 있다.
KTX-산천 A타입과 B타입을 구분하는 방법은?
이용하실 KTX 열차가 A-type인지 B-type인지 확인하려면,
-. 코레일 홈페이지에 위와 같이 표시되어 있는 열차는 KTX-산천 B-type이다.
-. 코레일톡 앱에서는 저렇게 표시되지는 않지만, 4호차에 동반좌석이 있다면 A-type이고, 동반좌석이 없다면 B-type이다.
청량리역 승강장에서 출발 대기중인 KTX-산천 B-type 열차.
예전에 강릉선으로 투입될 때 청량리역에서 원주 만종역까지 타봤다.
이 차량이 강릉선에서 빠진 이유는 오버스펙이었기 때문.
강릉선은 최고 250km/h까지만 낼 수 있지만, KTX-산천 B-type은 최고 350km/h, 영업 305km/h까지 낼 수 있다.
(구) 원강산천 일반실 좌석은 이렇게 생겼다.
SRT에 투입되는 와인산천보다 좌석이 살짝 불편하고, 중앙선에 투입중인 KTX-이음보다도 불편하다.
개인적으로는 KTX-산천 A-type보다도 불편하다.
하지만 초기 KTX-1보다 편하다.
열차 내부에는 영상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연합뉴스TV가 나온다.
출발, 도착 전후로 TV 소리가 그대로 나오는데 사람에 따라 거슬릴 수도 있을 듯.
(요즘은 덜 나온다)
모든 좌석에 콘센트가 2개(발받침대 쪽에 하나, 좌석과 좌석 사이에 하나) 설치되어 있다.
KTX-산천 A-type과는 달리 USB 포트가 없으니 주의해야 한다.
참고로 절연구간을 지날 때 잠깐 전원이 차단된다.
일정하게 전원을 공급받아야 하는 기기 사용시 주의할 것.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도 제공된다.
(통신사 상관없이 사용가능하며 공유기 이름은 KORAIL-WiFi)
중앙선 구간 주행 중 와이파이 속도를 측정해 봤는데 보시다시피 느리다.
(간혹 끊기기도 한다)
열차 내 편의시설 안내도.
휴대폰 충전기, 수유실, 기저귀교환대가 있다.
흡연실은 없다! 차내에서는 절대 금연이다.
자판기는 3호차와 6호차에 있다.
인기가 많아서 그런지 진열대가 텅텅 비어 있다.
만종역에 도착해서 한 컷.
동계올림픽 때문에 "KTX산천" 대신 "KTX평창"이라고 적혀있다.
(지금은 물론 동계올림픽 래핑은 걷어내고 KTX산천으로 바꿨다)
무궁화호 열차와 KTX-산천 교행 중.
참고로 만종역에는 이제 무궁화호가 다니지 않는다.
강릉선에서 KTX-산천 B-type 대신 투입중인 KTX-이음
만종역에 정차중인 KTX-이음 열차.
0 댓글